부동산 어플 시장
인간 삶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인 주거 문제는 정부가 해결해야 할 가장 주된 현안으로 여겨집니다. 주택매매가격 및 거래량 상승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TV에서는 ‘구해줘! 홈즈’, ‘서울엔 우리집이 없다’, ‘Bye Seoul 여기, 살래?!’ 등 집과 부동산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보여주는 ‘집방(집+방송)’ 방송들이 호응을 얻었으며, 디지털 시장에서는 스타트업, 금융사 등이 주축이 되어 부동산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신규 서비스를 런칭하여 ‘프롭테크(Property+Tech)’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1인 가구나 딩크족이 늘어나면서 작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이사를 앞두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이입니다.
부동산 어플 이용 추이
어플로 부동산 서비스를 활용한 국내 인구는 1,169만명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PC 대비 Mobile 사용자수가 소폭 높게 확인되었는데, 이는 최근 Mobile App으로 실거주자의 후기나 매물 관련 피드 등을 입체적으로 제공하고 국토교통부에서 실거래가 정보를 불러오는 등 매수자의 니즈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를 지속 출시하면서 고객을 빠르게 유입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부동산 정보를 탐색한 고객은 남녀 모두 40대가 15%, 12%로 가장 높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30대와 50대가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부동산 서비스 시장 내 Mobile 인구수 추이를 살펴본 결과, 봄 가을 이사 성수기 직전 매물을 찾는 수요에 의해 1~2월, 7~8월에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방과 같은 Mobile App의 단점으로는 허위 매물의 오남용 입니다. 허위 매물의 유형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됩니다. 첫번째는 실매물이 없는 경우가 대표적으라 할 수 있으며, 방문 혹은 계약시, Mobile App의 게시물과는 확연히 다른 컨디션과 많은 차이점이 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게시물의 사진으로는 굉장히 넓어 보였는데, 실제로는 터무니 없이 작은 컨디션이라던지, 게시물 상에서 제공한다고 하였던 옵션 사항들이 실제로는 사정에 의해 받을 수 없는 일들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어플에서 확인했던 내용과 조건 사항이 맞는지 사전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며, 옵션과 같은 요소도 세심하게 체크하는 원칙을 갖어야 할 것입니다.
보통 보증금 시세가 낮을 수록 임차 수요자가 사기라고 생각을 별로 안하기 떄문에 사기를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중개 수수료를 아끼려다가 몇 배 이상의 보증금을 사기 당하는 경우가 많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서로의 신뢰를 위해 인근 부동산 대필료를 지불해서 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필은 부동산 법률적으로 중개 행위가 아니며, 대필료도 중개 수수료라고 볼 수가 없습니다. 법적으로는 보장 못 받거나 복잡하게 될 경우도 많기 때문에 가급적 이와 같은 방법의 거래는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하여, 최근 우리는 ‘다방’과 같은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이을 통해, 부동산 중개 업자가 올린 매물을 보고 그에 합당한 부동산을 통해 거래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입니다.
부동산 어플 연령대별 순위
부동산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 이용 순위를 연령대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동일 카테고리에서도 나이의 주기에 따라 관심을 갖고 이용하는 App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20대는 유일하게 ‘다방’ 외에도 ‘직방’, ‘피터팬의 좋은방 구하기’와 같이 원룸·투룸 임대 매매 확인, 직거래 등을 제공하는 Mobile App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반면, 30대 이상은 ‘호갱노노’, ‘네이버 부동산’, ‘청약홈’과 같이 아파트 매물 거래 중심, 혹은 포털과 같이 네임밸류를 갖춘 서비스가 상위권에 자리하였습니다. 나이대에 따라 어플의 특성에 따라 사용 빈도가 달라지며, 그에 따라 트렌드도 변화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